Художник: Heo Hyeong-Man
Размер: 31 x 77 cm
Музей: Seokdang Museum of Dong-A University (Busan, South Korea)
Техника: Шелковый
‘미산米山’이라는 찍혀 있어 미산 허형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있다 있다 이<동경산수도>와 이루고 있으나 원래 병풍 그림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없다 없다 허형은 별로 없어 작품의 제작시기를 알기 어렵다 어렵다 . 다만 후기작으로 크게 대별한다면 전기는 아버지 아버지 허련許鍊 허련許鍊 1 ~ 1 1 충실한 그린 반면 반면 반면 , , , 후기에는 가득 메우는 구성과 구성과 수많은 미점으로 미점으로 명암과 양감을 양감을 살려내는 가진다 가진다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이러한 의거한다면 이 하경과 동경산수도는 전형적인 남종화법에 의한 작품임을 짐작할 수 있다 있다 화면의 제시를 넣었고, 그 원경과 중경 중경 ,, 근경을 배치하였다 배치하였다 . 화면 오른쪽에서 시작되는 근경의 토산에는 약한 피마준과 태점으로 부드러운 토산의 질감을 나타내고 있다 있다 그 중심이 되는 토산에는 종류가 다른 세 그루의 모아 그려 중국 원말 예찬倪瓚 예찬倪瓚 ( (1301 ~ 1374)의 및 서로 서로 유사하다 유사하다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. 특히 나무는 진한 농묵으로 나무의 무성함을 표현하여 여름을 나타내려 하였고 , 주변 나무에는 담묵의 칠하고 그 그 중묵과 농묵으로 농묵으로 태점을 찍어 나뭇잎의 나뭇잎의 무성함을 무성함을 표현하였다 표현하였다 . . . 원경의 봉우리와 중경 사이에는 여백을 두어 연운에 휩싸인 느낌을 준다 준다 준다 제시에 것과 같이 매화마을의 초가집들이 모여 있으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않는다 않는다 이 단순한 구도와 단정한 필법, 담담하고 먹선과 먹선과 청색을 사용한 전형적인 남종산수화의 특징이 있다 .
Художник |
|
---|---|
Загрузка |